1.yum의 개념
Yum은 Yellow dog Update라고도 하고 Duke University에서 RPM 설치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한 패키지 관리자입니다.

Yum은 패키지 저장소를 수요되는 패키지를 검색하고 다운로드 하여 설치까지 처리하면서 패키지들의 의존성을 고려하여 설치할때 패키지 의존성에 대한 error를 줄일 수 있습니다. Red Hat Enterprise Linux 5에서는 Yum으로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Yum은 /etc/yum.conf라는 설정파일을 사용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yum(8) man page를 참조해주시길 바랍니다.

패키지 repository를 설정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이미존재한 repository를 추가하여 패키지를 얻는 방법
• 새로운 repository를 설정하여 ISO에서 패키지를 얻는 방법
• RHN에 등록하여 패키지를 얻는 방법
새로운 repository를 설정하는 방법은 아래의 문서를 참조해주시길 바랍니다.
How can I add a new yum repository as a source to install software?(https://access.redhat.com/knowledge/node/9954)

Repository를 설정하여 DVD ISO에서 패키지를 얻는 방법은 아래의 문서를 참조해주시길 바랍니다.
How do I setup a yum or up2date repository to use a locally mounted DVD with Red Hat Enterprise Linux 4 and 5?(https://access.redhat.com/knowledge/node/9743)

System을 RHN에 register하는 방법은 아래의 문서를 참조해주시길 바랍니다.
How do I access Red Hat Network (RHN) to download software, updates, and security errata?(https://access.redhat.com/knowledge/node/5023)

Red Hat Network (RHN)의 repository를 접근하려면 반드시 RHN에 등록하여야 합니다. 자세한 부분은 RHN FAQ list(https://access.redhat.com/knowledge/node/15979)를 참조해주시길 바랍니다.
1.사용법
아래는 몇 가지 유용한 명령어입니다.

1) 패키지 설치:
yum install package
Example:yum install httpd


2) 패키지 삭제:
yum remove package
Example:yum remove httpd

3) 패키지 업데이트:
yum update package
Example:yum update httpd

4) 패키지 검색:
yum search package
Example:yum search httpd

5) 패키지 정보:
yum info package
Example:
yum info httpd

6) 특정단어가 포함 된 패키지 리스트:
yum list term
Example:yum list httpd

7) 특정 파일을 제공한 패키지 검색:
yum whatprovides filename
Example:yum whatprovides httpd.conf

8) 커널 패키지에 설치된 모든 패키지를 업데이트:
yum -y update
Example:yum -y update

'[IT] Linux > Config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hrel7 or CentOS7 NTP 설정  (0) 2017.08.01

싱글모드 부팅에러...
디스크의 에러및 추가/삭제시 혹은 fstab 파일을 잘못 수정했을때...리부팅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에러시 싱글모드로 들어가게 되면 / 파티션의 수정이 금지된다.
이럴때 -o 플레그를 이용해서 다시 마운트를 걸어 읽기/쓰기 권한을 주고 수정해주면 된다.
 
mount -o remount,rw /
vi /etc/fstab
fdisk -l
init 3

-o       -o 플래그 뒤에 콤마로 분리한 옵션을 적어준다.  
          이들 중 몇몇은 /etc/fstab 화일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옵션들은 마운트될 어떤 화일 시스템에서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async  화일 시스템에 대한 I/O가 비동기적으로 이뤄지도록 한다.

          auto   -a 옵션으로 마운트 가능하게 한다.

          defaults
           다음과 같은 기본 옵션을 사용하게 한다: rw, suid, dev, exec, auto, nouser, and async.

          dev    화일 시스템 상의 문자, 블럭 특수 장치를 해석한다.

          exec   바이너리의 실행은 허가한다.

          noauto 명시적으로만 마운트 가능하다.( 즉, -a 옵션으로는 마운트되지 않는다. )

          nodev  화일 시스템 상의 문자, 블럭 장치에 대한 해석을 하지 않는다.

          noexec 마운트된 화일 시스템 상의 어떤 바이너리도 실행을 허가하지 않는다. 
           자신이 지원하지 않는 바이너리를 포함하는 화일 시스템에 대해 유용하다.

          nosuid set-UID, set-GID 를 무시하게 한다.

          nouser 일반 사용자( 즉, 루트 아닌 )가 마운트할 수 있도록 허용하지 않는다. 
           기본 설정치이다.

          remount   이미 마운트된 화일 시스템을 다시 마운트한다.
           보통 읽기 전용 화일 시스템을읽기/쓰기 모드로 전환하는 등 화일 시스템에 대한
           플래그를 바꿀 때 사용된다.

          ro     화일 시스템을 읽기만 가능하게 한다.

          rw     읽기/쓰기 모두 가능하게 마운트한다.

          suid   set-UID, set-GID 가 효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해준다.

          sync   화일 시스템에 대한 I/O가 동기적으로 이뤄지게 한다.

          user   Allow an ordinary user to mount the file system. 
           This option implies 일반 사용자도 마운트할 수 있게 허용한다.
           이 옵션은 다음  noexec,  nosuid와 nodev 도 효력을 발휘하게 한다. 
           ( 같은 줄에서 user,exec,dev,suid 등의 옵션을 주지 않는다면 ).

 

확장

 

# lvextend -L +100M /dev/vg_data/lv_data ( 볼륨을 확장할 device 이름)

# resize2fs /dev/vg_data/lv_data ( 온라인 상태에서 확장할 수 있는 명령어, RHEL 5 에서 사용가능)

# df -h 명령어로 확인해 보면 mount 된 볼륨이 확장된걸 확인할 수 있다.




2GB LV를 500MB 로 만드는 축소 LVM 예제

* 파일시스템 UMOUNT (필수)

[root@gfs1 ~]# e2fsck -f /dev/mapper/vggfs-lv_02
e2fsck 1.39 (29-May-2006)
Pass 1: Checking inodes, blocks, and sizes
Pass 2: Checking directory structure
Pass 3: Checking directory connectivity
Pass 4: Checking reference counts
Pass 5: Checking group summary information
/dev/mapper/vggfs-lv_02: 11/262144 files (9.1% non-contiguous), 25406/524288 blocks
[root@gfs1 ~]#

[root@gfs1 ~]# resize2fs /dev/mapper/vggfs-lv_02 500M
resize2fs 1.39 (29-May-2006)
Resizing the filesystem on /dev/mapper/vggfs-lv_02 to 128000 (4k) blocks.
The filesystem on /dev/mapper/vggfs-lv_02 is now 128000 blocks long.

[root@gfs1 ~]# lvs
  LV       VG         Attr   LSize   Origin Snap%  Move Log Copy%  Convert
  LogVol00 VolGroup00 -wi-ao   6.09G                                     
  LogVol01 VolGroup00 -wi-ao   5.97G                                     
  LogVol00 vg_gfstest -wi-a-  97.66G                                     
  lv_01    vggfs      -wi-ao 724.00M                                     
  lv_02    vggfs      -wi-a-   2.00G       

                              
[root@gfs1 ~]# lvreduce -L -1.5G /dev/mapper/vggfs-lv_02
  WARNING: Reducing active logical volume to 512.00 MB
  THIS MAY DESTROY YOUR DATA (filesystem etc.)
Do you really want to reduce lv_02? [y/n]: y
  Reducing logical volume lv_02 to 512.00 MB
  Logical volume lv_02 successfully resized

[root@gfs1 ~]# mount /dev/mapper/vggfs-lv_02 /mnt
[root@gfs1 ~]#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mapper/VolGroup00-LogVol00
                      6.0G  3.2G  2.5G  58% /
/dev/sda5              99M   13M   81M  14% /boot
tmpfs                  18G     0   18G   0% /dev/shm
/dev/mapper/vggfs-lv_01
                      492M   66M  402M  15% /mnt
/dev/mapper/vggfs-lv_02
                      492M   66M  402M  15% /mnt

[root@gfs1 ~]# 

'[IT] Linux > Volume' 카테고리의 다른 글

LVM PV, VG, LV 생성  (0) 2015.05.07
super block  (0) 2015.05.07
LVM Stripe LV 생성  (0) 2015.05.03

+ Recent posts